시중 은행들이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 3%대 파격적인 월급통장을 선보이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. 직장 다니면 누구나 있는 급여이체 통장, 물론 돈이 들어왔다가 금세 비어버리는 텅장이 되지만 급여통장에 파격이자를 3.%까지 주는 은행이 있다고 하니 이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은행권에 따르면 15일, SC제일은행은 첫 거래 급여이체 고객을 대상으로 최대 연 3.5% 금리를 주는 ‘내월급통장’을 판매 중이라고 합니다. 내 월급통장은 급여를 받는 직장인을 위한 자유 입출금통장으로, 기본금리 1.0%에 추가로 최고 2.5%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. 우대 금리 궁금하시죠?
우대금리 제공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:
은행 첫 거래 고객에게는 신규일부터 1년간 0.5%포인트
급여이체 금액에 따라 1.0~0.2%포인트
SC제일은행 보유 상품 종류 수에 따라 0.2~0.1%포인트
자동이체 등록 건 수, 카드 사용, 인터넷·모바일뱅킹 로그인 실적에 따라 0.3~0.1%포인트 내월급통장의 평균잔액에 따라 0.5~0.1%포인트
또한, SC제일은행의 이 월급통장은 인터넷·모바일뱅킹 이체 수수료, 타행 자동화기기 인출 수수료, 영업시간 외 당행 자동화기기 인출 수수료, 타행 자동이체 수수료 등 각종 수수료를 면제해줍니다.
하나은행도 최근 50만원 이상 급여를 이체하면 연 최대 3% 금리의 ‘달달 하나 통장’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기존 급여 통장보다 혜택을 확대한 이 통장은 기본금리 연 0.1%에 최대 200만원까지 연 1.9%포인트, 특별 이벤트로 올해까지 연 1.0%포인트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.
또한, IBK기업은행은 ‘IBK중기근로자급여파킹통장’을 판매 중입니다. 이 월급통장은 전월 50만원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충족되면 급여 수령 다음달부터 연 3.0%의 금리를 제공합니다.
KB국민은행은 ‘KB마이핏통장’을 통해 급여 이체 고객에게 최대 연 1.5% 금리를 제공하며, 우리은행은 ‘우리직장인셀럽’ 서비스를 통해 우대금리 대신 여행상품권·꿀머니 등을 제공합니다.
또한, 국내 5대 시중은행의 3월 말 기준 요구불예금은 647조8882억원으로 2월 말보다 33조6226억원(5.47%) 증가했습니다. 요구불예금은 은행에서 언제든지 찾을 수 있는 초단기 예금으로, 최근 1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 갈 곳 없는 머니가 초단기 예금에 잠깐 들어가 있는 것입니다. 다른 곳 사용하기 전에 파킹 통장으로 이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.
'알찬 정보속으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년(2025년)부터 교대 입학 정원 12% 감축한다 (0) | 2024.04.16 |
---|---|
파주 남녀 호텔 사망 사건... 여성의 폰으로 '돈 요구' 한 정황 드러나 (0) | 2024.04.16 |
5월부터 병원 갈 때 신분증 챙기세요 약국은 제외 (0) | 2024.04.12 |
혼자 사는 우리 엄마도 소득 관계없이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신청하세요 (0) | 2024.04.10 |
초콜릿의 효능 (0) | 2024.03.07 |